728x90
반갑다 오랜만에 돌아온 미주갤 파딱 경제이론시간이다.
경제이론이 실베를 자주가 아주 만족스럽다.
오늘 경제이론 글은 채권에 대해서 써볼까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m5hj/btsBxcKrqSK/BRExQYJzmOwkT0KfQQiNP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Pn09w/btsBuvRkWxL/UObip3kNfDfgUQ5OQuH3DK/img.jpg)
먼저 우리가 볼건 장기채를 봐야한다. 여기서 말하는 장기채는 10년~30년을 말하는거다. 그 중에서 채권 ETF는 20-30년을 추종한다.
많은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게 있는데
“채권수익률”과 “채권가격”은 반대된다.
네이버에서 [미국채권]이라고 검색하면 [미국채권수익률]이 나온다.
이 수익률은 금리다. 즉 채권수익률이 내려야 채권이 오른다는거다.
주의바란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5kuZ/btsBvUwnfPr/KTNKkSQ5TMgLRlTw4ds65K/img.jpg)
보통 사람들이 10년물을 많이 보는데
이 이유는 10년물 금리기준으로 기업이 돈을 빌릴때 사용하는 금리이기도 하고 미래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상승률도 보여주기도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1JE9/btsBugAaxoR/G2X49b9UKke79DgJz8kL91/img.jpg)
금리 인상으로 채권수익률이 고점을 찍고 내려갔다.
서론이 너무 길었지먼 이것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한다.
왜 현재 채권금리가 내리는지 궁금한 사람이 많을거다. 이 이유는 두가지로 나뉜다.
첫번째는 미국의 금리인상은 이미 끝났고 금리인하를 기대 중이다.
또는 두번째는 미국의 경기침체를 기대하고 있다.
이 두가지 이유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oDb2/btsBx9mnv64/ngSUYkbNVVnuwawzNMFIwk/img.jpg)
첫번째 이유처럼 블룸버그에서는 내년 3월에 금리인하를 예상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빌 애크먼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4mJGp/btsBzMRwtL7/GaMFcO1tOfjiUgXy2ET471/img.jpg)
2024년 1분기에 금리인하를 기대하고 있다.
그렇다면 왜 경기침체를 예상한다는걸까?
이 이유도 나름 타당한 이유가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Dlaq/btsBvodiW69/sxJAJw5CiEA9QP29ZnE9Kk/img.jpg)
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5.5%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jKSVP/btsBxTYdACm/cwDCFHI0oXYpuX6c0d07U1/img.jpg)
무려 22년 만에 가장 높은 금리다.
미국 기준금리가 5% 이상일때 항상..어떤 일이 있었다.
과거데이터를 보자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kLbr/btsBvpXCeBX/5F2R3kL0mZ0qjOiNhwglH0/img.jpg)
84년 3.25% 연착륙
89년 3.88% 90년도에 경기침체
95년 3% 연착륙
00년 1.75% 01년 경기침체
06년 4.25% 07년 경기침체(서브프라임 모기지)
18년 2.25% 20년 경기침체
그리고
23년 5.25%..
미국은 현재 5.25%를 올린 5.5%기준금리를 계속 유지 중이다. 이게 채권수익률이랑 무슨 상관이냐?
경기침체가 예상이 되면 연준은 금리를 내리게 되어 있다. 왜냐하면 경기침체(Deflation)이니 시장에 돈을 풀어서 시장에 공급을 해야하니깐.
그래서 채권수익률이 떨어지는거라고 볼 수 있다.
[투자의 판단은 본인 몫 입니다.]
필자는 엔으로 미국채권 투자(2621) 샀다.